일상

제35회 ADsP [국가공인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독학 후기

앙쇼 2022. 12. 20. 18:30
반응형

#1 ADsP를 준비하게 된 이유

2019년 중반부터 정말 많이 들었던 말이 있다.

바로 [제 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같은 단어들....

2023년을 바라보고있는 지금도 빅데이터는 글로벌 IT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IT기업에서도

정말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다. (보통은 쇼핑몰 광고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지 않나 싶다.)

 

회사에서도 드디어 빅데이터라는 키워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23년에는 연봉을 조금이라도 올려보고자 빅데이터 관련 자격증을 알아보던 중 

쉽게 딸수 있는 자격증인  ADsP 빅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증을 도전하게 되었다.

- 최근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이 나왔지만, 시간도 오래 걸리고 난도가 있을 듯했다.

 

 

 

#2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의 시험 방식은?

ADsP의 문제는 "문제은행" 방식이다.

즉, 문제만 계속 풀어보면 된다!이다

데이터 이해 / 데이터분석 기획 / 데이터 분석 형식으로

데이터 이해 - 객관식 8문항 / 단답형 2문항

데이터 분석 기획 - 객관식 8문항 / 단합형 2문항

데이터 분석 - 객관식 24문항 / 단답형 6문항

 

총 90분동안 50문 제 만 풀면 된다.

생각보다 매우 여유로운 시간을 주고 있다.

 

 

 

#3 학습 방법

데이터 분석 전문가 가이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민트책을 살까 하다가

회사에서 사놓은 데이터자각검정 진흥원에서 만든 공식 책이 있어서

이것만 주구장창 봤다.

이 책은 ADP(국가공인 데이터 분석 전문가)와 ADsP가 같이 있는 책이라서 너무 두꺼웠지만

단락이 나누어져있기때문에 공부를 하는데 큰 지장은 없었다.

ADsP ㅣ출문제

또한 기출문제를 계속 반복해서 풀어보며

오답노트를 만들고, 시험날 노트 한권만 챙겨가서 계속 읽기만 했다.

이상하게도 틀린 문제는 계속 틀리는 경향이 있어서

정말 정신을 집중하고 계속 외웠다... (지금은 기억속에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다.)

 

많은 사람들은 유료인강을 통해서 핵심을 짚고 넘어간다고들 하는데

내 의견은 조금은 돈이 아깝다라는 생각이다.

당장 유튜브에서 ADsP 만 검색해도 기출까진 아니더라도 핵심적인 내용을 많이 설명해준다.

약간의 지식만 있다고 한다면 솔직히 유튜브에서 정리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4 마치며..

 아무리 생각해도 문제은행식은 그냥 기출문제 반복이 답이다.

먼저 풀어보고 틀린 이유를 살펴보고 다시 풀어보고....

심지어 시험에는 기출문제와 100% 같은 문제도 나왔다

 

이 자격증이 인사고과에 잘 반영이 될지는 모른다.

그래도 회사에서도 단순 탁상행정이 아닌,

빅데이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니까........

내년 연봉협상을 기대해본다.

 

참고로 점수는

18점 / 16점 / 28점으로 88점 합격이다 :)

 

또한 자격증시험은 5만 원이다...

한 번에 따야 한다

반응형